전자공학 (4) 썸네일형 리스트형 PN junction 개인적으로 반도체를 공부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것은 반도체라는 단어 자체가 가지는 광범위함(?)이었음. p형/n형 반도체부터 메모리 반도체까지 모든 곳에 반도체라는 단어가 붙는데 두 대상간의 갭 차가 너무 크게 느껴져서 모호했는데, 구글 서치를 하면서 내가 지금까지 가지고 있던 애매모호함을 한번에 정리해주는 내용을 읽게 됨. 이렇게 우리는 전하 캐리어와 dopant 그리고 p형, n형 반도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우리가 지금까지 다룬 반도체는 '소자'(Device)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소자는 기본적으로 어떤 목적을 위해 설계된 장치를 의미합니다. 즉, 소자가 되지 않은 반도체는 그냥 특정한 전기적 성질을 가지고 있는 '물질'일 뿐입니다. 우리 투자자들이 관.. 메모리 반도체 / 비메모리 반도체 메모리 반도체 정보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반도체로 RAM과 ROM이 있음. 1. RAM(Random Access Memory) 컴퓨터가 동작 중에 빠르게 접근하여 정보를 Write/Read를 할 수 있는 Memory. 컴퓨터의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정보가 사라지기 때문에 휘발성 메모리라고도 함. RAM의 정보 저장 방식에 따라 DRAM과 SRAM으로 나뉨. -.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 컴퓨터의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도 시간 순서에 따라 저장된 정보가 사라지는 메모리. 저장된 정보가 휘발되기 전에 주기억으로 재충전 시켜 주면 정보가 사라지지 않고 유지됨. 용량이 크고 속도가 빠름. 컴퓨터의 메인 메모리, 그래픽 메모리 및 모바일 메모리 -. SRAM(Stat.. 반도체 역할 따른 종류 반도체는 역할에 따라 아래와 같이 7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음. 1. 다이오드(Diode) : AC(교류)를 DC(직류)로 바꾸는 정류 역할을 함. 전류를 한 쪽으로만 흐르게 함. 2. 트랜지스터(Transistor) : 신호 증폭(Amplifier) 및 스위치 역할을 함. 3. LED 반도체 : 전기를 빛으로 바꾸는 발광 소자. 4. CIS(CMOS Image Sensor) : 빛 에너지를 읽어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해주는 장치. 카메라 필름과 같은 역할을 함. 5.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s) :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6. 메모리 반도체 : 정보를 저장하고 기억하는 반도체. 종류로는 RAM과 ROM이 있음. 7. 비메모리 반도체(시스템 반도체, Sys.. 반도체란? 반도체(Semiconductor)는 일반적으로 '도체'와 '부도체(절연체)'의 중간 정도의 물질임. 그러면 반도체도 정도의 차이지 도체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물체의 특성보다는 재질의 특성으로 구분함. 절연성 물질인 14족 원소인 저마늄이나 실리콘에 13족이나 15족을 도핑하여 14족 원소와 결합하게 해서 도전율(Conductivity)을 높여 *비저항(전기를 통하지 못하게 하는 정도) 낮춤으로써 전류가 흐를 수 있게 함. 즉 도핑을 통해 절연체인 순수 실리콘을 전기가 통할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 주는 것. 그리고 도핑량에 따라 도전율을 조절할 수 있음. 절연 재질 보다 낮고 도전 재질 보다 높은 비저항값을 갖도록 한 것을 반도체라고 하고 도전성 물체로 사용하기도 하고 절연성 물체로 사용하기도.. 이전 1 다음